목록전체 글 (88)
Zero To One

1) 도메인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을 할 때,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한느 주소가 있다. 만약 IP주소가 지번 또는 도로명 주소라면, 도메인 이름은 해당 주소에 위치한 상호로 볼 수 있다. nslookup : 터미널에서 도메인 이름을 통해 IP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 nslookup google.com 터미널에 nslookup google.com 을 치면 google.com의 IP 주소를 확인 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IP 주소는 172.217.25.110 이고, 도메인 이름은 google.com 이다. 주소창에 172.217.25.110 을 입력하면 google.com으로 이동할 수 있다. +++ 여기서 한가지. nslookup naver.com 에서 IP주소는 총 4개가 나온다. ..

1) IP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주소체계. IP 주소체계를 따라 네 덩어리의 숫자로 구분 IPv4 : 네 덩어리의 숫자로 구분된 IP 주소 체계 (Internet Protocol version 4, IP 주소체계의 네 번째 버전) IPv4는 각 덩어리 마다 0 ~ 255 까지 나타낼 수 있다. (2^32, 약 43억개의 IP주소 표현 가능) 용도에 따른 IP주소 localhost, 127.0.0.1 : 현재 사용 중인 로컬 PC 지칭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장치와 소통하는 주소. 서버에서 접근 가능 IP 주소를 broadcast address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에 접..

1)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네트워크 상에서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의 파일이 위치한 정보를 나타낸다. scheme, hosts, url-path로 구분할 수 있다. scheme : 통신방식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에서는 http(s)를 사용한다. hosts : 웹 서버의 이름이나 도메인, IP를 사용하여 주소를 나타낸다. url-path : 웹 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이 위치한 경로와 파일며을 나타낸다. 2)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L의 기본요소 3가지 + query, bookmark query : 웹 서버에 보내는 추가적인 질문 URI는 URL을 포함..

1)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은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 요청이 있어야지 응답이 옴.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서는 서버 마음대로 클라이언트에 리소스를 전달하지 않는다. 2) 프로토콜(Protocol) 통신하는 서로 다른 두 장치간에 협의된 규칙. 즉, 약속 웹 애플리케이션 프로코톨 : HTTP 3) OSI 7 Layer OSI 7 Layer에서 응용계층(Application)에 해당되는 프로토콜 HTTP : 웹에서 HTML, JSON 등의 정보를 주고 받는 프로코톨 HTTPS : HTTP에서 보안이 강화된 프로토콜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SMTP :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 SSH : CLI환경의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 RDP : Window 계열의..

1. 2 Tier Architecture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 ⇒ “클라이언트” 리소스가 제공(serve)하는 곳 ⇒ “서버” 상품 정보는 서버에서 다루고, 클라이언트는 단지 상품 정보를 조회할 뿐이다. 예를들어, 리소스에 접근하는 앱은 마치 손님(Client)과 같아서, 리소스를 가지고 점원(Server)에게 물품을 요청해야한다. 요청에 따라, 점원(Server)는 리소스를 담아 응답한다. 2. 3-Tier 아키텍쳐 보통 서버는 리소스를 전달해 줄 뿐, 리소스를 저장하는 공간은 데이터베이스라는 창고에 둔다. 이처럼,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에 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된 형태를 3-Tier 아키텍쳐라 한다. 3. 프론트 앤드와 백엔드 프론트 앤드의 영역 클라이언트처럼 사용자가 직접 눈을 보고, UI를 클릭 또..
CI/CD 과정 중 주로 Operate(문제 해결, 모니터링 등) 업무에서 쓰이기 때문이다. : DevOps를 하면서 리눅스 운영체제에 익숙해 져야하는 이유 1) 리눅스 기본 명령어 파일 관리 디렉토리 개념 . : 현재위치 .. : 상위 폴더 / : 루트 ~ : 홈 find 명령어 : 디렉토리 내에서 특정 파일을 찾는 것 which 명령어 : 지금 내가 실행하는 명려이 어떤 디렉토리에 있는지 알려주는 명령어 2) 기본 도구 nano 텍스트 에디터 apt 패키지 매니저 --> 서버에서 실행할 프로그램은 어디에 있는가?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 3) 프로세스와 기본 명령어 지금 작동 중인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ps) 그 프로그램을 어떻게 실행 할 것인가? (백그라운드 작업시 : & or nohup) 그 프로..

1. top - 리눅스 프로세스 모니터링 top 명령은 실행되고 활성화된 모든 실시간 프로세스를 정렬된 목록에 포시하고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된다.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스왑 메모리, 캐시 크기, 버퍼 크기, 프로새스 PID, 사용자, 명령 등을 표시한다. 또한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높은 메모리 및 CPU사용률을 보여준다. top 명령은 시스템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때 수정 조치를 취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top 2. VmStat - 가상 메모리 통계 리눅스 VmStat 명령은 가상메모리, 커널 스레드, 디스크, 시스템 프로세스, I/O 블록, 인터럽트, CPU 활동 등의 통계를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vmstat 명령을 사용할 수 없다. vmsta..

Linux netstat 명령은 네트워크 연결, 사용 중인 포트 및 이를 이용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Ports, Processes, and Protocols Network sockets은 연결되거나 연결을 기다릴 수 있다. 연결은 TCP 또는 UDP와 같은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들은 Internet Protocal 주소와 network ports를 사용하여 연결을 설정한다. Sockets이란 단오는 물리적인 연결 포인트 를 연상케 할 수 있지만 여기서 socket은 네트워크 데이터 연결의 한쪽 끝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구성이다. sockets은 2가지 주요 상태를 가지고 있다. : 그들은 연결하고 네트워크 전달을 진행할 뿐만 아니라 그들은 그들에게서 연결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