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 To One
5) 도메인과 DNS 본문
1) 도메인
- 웹 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사이트에 진입을 할 때, IP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한느 주소가 있다.
- 만약 IP주소가 지번 또는 도로명 주소라면, 도메인 이름은 해당 주소에 위치한 상호로 볼 수 있다.
- nslookup : 터미널에서 도메인 이름을 통해 IP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
nslookup google.com
터미널에 nslookup google.com 을 치면 google.com의 IP 주소를 확인 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IP 주소는 172.217.25.110 이고, 도메인 이름은 google.com 이다.
주소창에 172.217.25.110 을 입력하면 google.com으로 이동할 수 있다.
+++
여기서 한가지.
nslookup naver.com 에서 IP주소는 총 4개가 나온다.
그런데 google.com에서 IP주소가 2404:6800:4004:819::200e 인게 있다.
이것이 IPv6 표시 방법이다.
IPv4는 10 진수 형식으로 작성된 32 비트 숫자로 주소를 표시합니다 (예 : 207.241.148.80 또는 192.168.1.1). 가능한 수 많은 IPv6 주소가 있기 때문에 3ffe : 1900 : 4545 : 3 : 200 : f8ff : fe21 : 67cf와 같이 주소를 표시하려면 16 진수 로 작성해야합니다.
2) DNS (Domain Name System)
-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하거나 반대의 경우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만약 브라우저의 검색창에 naver.com을 입력한다면, 이 요청은 DNS에서 IP주소 (223.130.195.95)를 찾는다.
- 그리고 이 IP주소에 해당하는 웹 서버로 요청을 전달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 때 모든 전화번호를 외우지 않고, 휴대폰 연락처에 저장해 놓은 이름과 전화번호를 사용합니다. 전화를 걸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하면 연락처에서 이름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검색되는 시스템을 이용한 것입니다.
휴대폰 연락처와 같이 도메인과 IP 주소를 저장해 놓은 시스템을 DNS(Domain Name System)라고 합니다. 즉 DNS는 전 세계의 IP 주소에 대응하는 도메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입니다. IP 주소와 도메인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컴퓨터나 애플리케이션을 DNS 서버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DNS 서버는 IP 주소와 도메인을 저장하고 맵핑(mapping)하는 일종의 데이터베이스입니다.
출처: https://better-together.tistory.com/128 [변계사 Sam의 테크 스타트업!]
3) 도메인의 주소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구글의 도메인 이름 www.google.com을 입력하고 구글의 웹사이트로 이동하는 짧은 순간에 여러분의 컴퓨터가 DNS 서버에 IP 주소를 문의하고 응답받은 IP 주소로 접속하는 일련의 과정이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도메인 주소는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최상위 도메인과 여러 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탑 레벨 도메인은 .com, .kr, .net등 도메인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도메인 이다.
kr,us와 같은 국가 코드를 사용하는 도메인은 co,ac와 같은 2단계 도메인과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각 도메인은 오른쪽에 위치한 도메인의 서브 도메인이다.
참조!!!!!!!!!!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주셨다 ㅠㅠ
https://better-together.tistory.com/128
'웹서비스 개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비아 도메인을 Route53으로 이전 및 ACM 인증까지 (0) | 2022.11.09 |
---|---|
HTTP 요청 메서드, HTTP 상태 코드 (0) | 2022.02.16 |
4) IP, Port (0) | 2022.02.15 |
3) URL과 URI (0) | 2022.02.15 |
2) HTTP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 통신과 API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