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 To One

4) IP, Port 본문

웹서비스 개발 기초

4) IP, Port

Zero_To_One 2022. 2. 15. 13:16

1) IP (Internet Protocol) :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주소체계.

  • IP 주소체계를 따라 네 덩어리의 숫자로 구분
  • IPv4 : 네 덩어리의 숫자로 구분된 IP 주소 체계 (Internet Protocol version 4, IP 주소체계의 네 번째 버전)
  • IPv4는 각 덩어리 마다 0 ~ 255 까지 나타낼 수 있다. (2^32, 약 43억개의 IP주소 표현 가능)
    • 용도에 따른 IP주소
      • localhost, 127.0.0.1 : 현재 사용 중인 로컬 PC 지칭
      • 0.0.0.0, 255.255.255.255 : broadcast address, 로컬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장치와 소통하는 주소. 서버에서 접근 가능 IP 주소를 broadcast address로 지정하면, 모든 기기에서 서버에 접근 가능
  • IPv6 : (IP version 6) 2^128 개의 IP 주소 표현 가능.

2) Port

  • Port(포트)란 IP 내에서 애플리케이션 상호 구분(프로세스 구분)을 위해 사용하는 번호이다.
  • 포트 숫자는 IP 주소가 가리키는 PC에 접속할 수 있는 통로(채널)을 의미한다.
  • 터미널에서 리액트를 실행하면 나타나는 화면에는, 로컬 PC의 IP 주소인 127.0.0.1 뒤에 :3000과 같은 숫자가 표현된다.
  • 리액트를 실행했을 때에는 로컬 PC의 IP 주소로 접근하여, 3000번의 통로를 통해 실행 중인 리액트를 확인할 수 있다.
  • 이미 사용 중인 포트는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다.
  • 만약 다른 프로그램에서 3000번 포트를 사용 중이라면, 3001번 포트 번호로 리액트가 실행된다.
  • 포트 번호는 0~ 65,535 까지 사용할 수 있다.
  • 그 중에서 0 ~ 1024번 까지의 포트 번호는 주요 통신을 위한 규약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다.

3) 반드시 알아야 할 잘 알려진 포트 번호

  • 22 : SSH
  • 80 : HTTP
  • 443 : HTT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