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 To One
HTTP 요청 메서드, HTTP 상태 코드 본문
HTTP 요청 메서드
HTTP는 요청 메서드를 정의하여,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을 나타냅니다. 간혹 요청 메서드를 "HTTP 동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각각의 메서드는 서로 다른 의미를 구현하지만, 일부 기능은 메서드 집합 간에 서로 공유하기도 합니다. 이를테면 응답 메서드는 안전하거나, 캐시 가능 (en-US)하거나, 멱등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멱등성(冪等性, 영어: idempotent)은 수학이나 전산학에서 연산의 한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
GET : GET 메서드는 특정 리소스의 표시를 요청합니다. GET을 사용하는 요청은 오직 데이터를 받기만 합니다.
POST : POST 메서드는 특정 리소스에 엔티티를 제출할 때 쓰입니다. 이는 종종 서버의 상태의 변화나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PUT : PUT 메서드는 목적 리소스 모든 현재 표시를 요청 payload로 바꿉니다.
DELETE : DELETE 메서드는 특정 리소스를 삭제합니다.CONNECT : CONNECT 메서드는 목적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로의 터널을 맺습니다.
OPTIONS : OPTIONS 메서드는 목적 리소스의 통신을 설정하는 데 쓰입니다.TRACE : TRACE메서드는 목적 리소스의 경로를 따라 메시지 loop-back 테스트를 합니다.
PATCH : PATCH : 메서드는 리소스의 부분만을 수정하는 데 쓰입니다
HTTP 상태 코드
- 1xx (정보): 요청을 받았으며 프로세스를 계속한다
- 2xx (성공):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인식했고 수용하였다
- 3xx (리다이렉션): 요청 완료를 위해 추가 작업 조치가 필요하다
- 4xx (클라이언트 오류):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
- 5xx (서버 오류):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HTTP_%EC%83%81%ED%83%9C_%EC%BD%94%EB%93%9C
'웹서비스 개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비아 도메인을 Route53으로 이전 및 ACM 인증까지 (0) | 2022.11.09 |
---|---|
5) 도메인과 DNS (0) | 2022.02.15 |
4) IP, Port (0) | 2022.02.15 |
3) URL과 URI (0) | 2022.02.15 |
2) HTTP를 이용한 클라이언트-서버 통신과 API (0) | 2022.02.15 |